
연극영화과는 연극과 영화, 그리고 방송과 뮤지컬까지 아우르는 종합 예술 학문 분야입니다. 한국의 대학교에서 개설된 연극영화과는 단순히 배우 양성에 그치지 않고, 연출가·극작가·영화감독·비평가·영상 기획자 등 다양한 전문 인력을 배출해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연극영화과 현황과 대학별 특징, 진로 방향을 살펴보겠습니다.
연극영화과란 무엇인가?
연극영화과는 크게 연극학과 영화학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연극학은 무대 연기, 연출, 극작, 무대 디자인 등을 다루며, 전통적인 공연예술의 기반을 연구합니다.
영화학은 시나리오 작성, 영화 연출, 촬영, 편집, 사운드 디자인 등 영상 제작 전반을 다루며, 현대 미디어 산업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OTT 플랫폼의 성장으로 인해 연극과 영화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으며, 대학들은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융합 교육을 강화하는 추세입니다.
주요 대학별 연극영화과 특징
중앙대학교 공연영상창작학부
중앙대는 한국 연극영화계에서 가장 유명한 학교 중 하나입니다. 과거 ‘연극영화과’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나 현재는 공연영상창작학부로 개편되어 운영됩니다.
세부 전공: 연극, 영화, 극작, 뮤지컬, 연출 등
특징: 실기 위주 수업과 현장 밀착형 교육
대표 인물: 봉준호 감독, 설경구, 전도연, 조인성 등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
한예종은 예술인 양성을 위해 설립된 특수 대학으로, 연극원과 영상원이 각각 존재합니다.
연극원: 연기과, 연출과, 극작과
영상원: 영화과, 방송영상과, 애니메이션과
특징: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교육, 현장과 직접 연결되는 프로젝트 다수
대표 인물: 류승완, 홍상수, 박찬욱, 이창동 등
서울대학교 연극영화과
서울대는 국립대학답게 학문적 연구에 강점이 있습니다.
전공: 연극학, 영화학
특징: 이론과 비평, 학문적 깊이를 강조하며 학자·연구자 배출이 활발
진로: 영화평론가, 연극학자, 대학원 진학 후 교수 활동 등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부
동국대 연극영화과는 배우 배출에 강점이 있는 학교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특징: 불교계 대학이지만 대중문화계와 깊이 연결
대표 인물: 공유, 이동욱, 윤제균 감독
그 외 대학
경희대학교 연극영화학과: 배우와 연출가 배출이 활발
부산대학교 연극영화과: 부산국제영화제와 연계 가능성이 크며 지역 기반 영화 교육이 강점
동아대학교 영화학과: 영상 제작 실습 위주의 수업 운영
연극영화과 입시 준비
연극영화과 입시는 크게 실기 시험과 이론 시험으로 나뉩니다.
연기 전공: 지정 대사, 자유 연기, 특기 시험 등을 치릅니다.
영화 전공: 스토리텔링, 시나리오 작성, 창의적 기획 능력 평가가 중요합니다.
이론 전공: 논술이나 구술시험으로 영화·연극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합니다.
따라서 입시 준비생은 자신이 어떤 분야(연기, 연출, 이론 등)에 강점을 가지는지를 먼저 파악하고, 해당 전공에 맞는 준비를 해야 합니다.
졸업 후 진로
연극영화과를 졸업하면 다양한 진로가 열립니다.
배우, 뮤지컬 배우, 성우
영화감독, 드라마 연출가, 뮤직비디오 감독
극작가, 시나리오 작가, 방송 작가
영화 비평가, 문화기획자, 영상 프로듀서
최근에는 넷플릭스, 티빙, 디즈니+ 등 OTT 플랫폼의 성장으로 인해 연극영화과 졸업생들의 활동 영역이 더욱 넓어지고 있습니다.
---
결론
우리나라 연극영화과는 단순히 배우를 키우는 학과가 아니라, 예술과 산업을 연결하는 종합 예술 교육의 장입니다. 중앙대와 한예종은 실기와 현장 중심으로, 서울대는 학문적 연구로, 동국대와 경희대는 배우 배출로 특화되어 있습니다.
앞으로도 영화와 공연예술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연극영화과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자신의 목표와 적성에 맞는 대학과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길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