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대·고려대·한양대 공대 장학제도

by rio1000 2025. 10. 10.
반응형

서울대·고려대·한양대 공대 장학제도 완벽 가이드 (2025학년도 기준)

공과대학은 실험, 장비, 연구 등 다양한 활동이 필요해 등록금 부담이 큰 편입니다. 하지만 국내 주요 대학들은 우수한 공대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풍부한 장학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한양대학교 공대의 주요 장학금 종류, 지원 조건, 선발 기준을 종합적으로 비교해보겠습니다.

1.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장학제도

서울대는 ‘경제적 이유로 학업이 중단되지 않도록 한다’는 원칙 아래, **국가장학금 + 교내장학금 + 외부장학금** 3중 구조로 운영됩니다. 특히 성적 우수자 외에도 연구역량, 봉사, 가정형편 등을 종합 평가해 지원 폭이 넓습니다.

장학금 명칭지원 대상지원 내용특징
서울대 발전기금 장학금성적 상위 10% 이내 학생등록금 전액 또는 반액기부금 기반 장학금, 공대 내 비율 높음
공과대학 특별장학금연구 참여 학생연간 최대 300만 원교수 추천 및 연구실 참여자 중심
국가장학금 (I, II유형)소득 8분위 이하등록금 전액~일부대한민국 정부 지원 장학금
삼성·현대 협력 장학금산학연계 프로젝트 참여자등록금 전액 + 연구비 지원졸업 후 해당 기업 입사 시 가산점 부여
창의공학인재 장학금공모전·논문 우수자1회 최대 200만 원성과 중심 단기 장학

서울대 공대는 등록금 부담을 거의 느끼지 않을 정도로 장학 비율이 높습니다. 2024년 기준 공대 재학생의 약 62%가 한 학기 이상 장학 혜택을 받았으며, 연구실 RA(Research Assistant) 참여 시 추가 연구수당이 지급됩니다.

2.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장학제도

고려대 공대는 성적 중심과 연구 중심 장학을 병행합니다. 특히 **KU 글로벌 장학금**과 **산학협력 장학금**이 활발히 운영되어, 해외연구와 산업현장 경험을 동시에 쌓을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장학금 명칭지원 대상지원 내용특징
KU우수인재 장학금입학 성적 상위자4년 등록금 전액수시·정시 상위 1~2% 지원자 대상
공과대학 공학인재 장학금전공 성적 상위자학기당 최대 300만 원공학경진대회·캡스톤디자인 참여자 우대
KU글로벌 장학금해외 교환학생 및 연구참여자항공료 + 체재비 100만~300만 원국제협력처 주관
산학협력 장학금기업 연계 연구과제 수행자등록금 일부 + 연구비 지원삼성전자·SK하이닉스·LG협약
희망나눔 장학금저소득층 학생등록금 50% 이상생활보조형 장학금

고려대는 ‘학업·연구·인성’ 세 요소를 균형 있게 반영해 장학 대상을 선발합니다. 공과대학 내 약 55%의 재학생이 장학 수혜자이며, 특히 반도체공학과·화공생명공학과는 기업 산학장학 비중이 높습니다.

3.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장학제도

한양대는 ‘실용공학 중심 대학’이라는 명성답게, **현장실습·창업·산학연계형 장학금**이 다양합니다. 등록금 외에도 인턴 활동비, 창업 지원금 등이 포함되어 실질적인 도움이 큽니다.

장학금 명칭지원 대상지원 내용특징
H-Lions 장학금입학 성적 우수자4년 등록금 전액 + 생활비공대 최고 수준의 입학장학
HY-LINC 산학장학금산학협력 프로젝트 참여자등록금 전액 + 연구비기업 연계형 장학 제도
공과대학 발전기금 장학금성적 우수·봉사 우수 학생학기당 200만 원 내외기부자 지정형 장학금
창업 인재 장학금스타트업 창업 또는 특허 출원 학생창업지원금 최대 500만 원실용공학 중심 지원
한양사랑 장학금경제적 곤란 학생등록금 70% 이상생활보조 중심, 수혜 폭 넓음

한양대 공대는 ‘실용성’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현장형 장학 제도를 운영합니다. 장학금 수혜 비율은 약 60%로 높으며, 재학생의 30% 이상이 기업과 연계된 산학장학을 경험합니다.

4. 주요 대학 장학제도 비교표

구분서울대학교고려대학교한양대학교
장학 수혜 비율약 62%약 55%약 60%
대표 장학금발전기금 장학 / 창의공학인재KU우수인재 / 글로벌장학H-Lions / HY-LINC
기업연계형 장학삼성·현대 협력삼성·SK·LG 산학연계HY-LINC 기업 참여
특징 요약국가+기부 중심, 안정적연구·해외교류 중심실무·창업 중심

5. 종합 정리 및 선택 가이드

세 대학 모두 공과대학 장학제도를 적극적으로 운영하지만, 지원 방향이 다릅니다. 서울대는 ‘균형형 지원’, 고려대는 ‘연구·글로벌형’, 한양대는 ‘현장실무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공대 진학을 고려하는 학생이라면 자신의 학업 스타일과 진로 방향에 맞는 장학 유형을 고려해야 합니다.

  • 서울대: 안정적 장학 구조, 연구 및 성적 기반 중심
  • 고려대: 국제 연구 및 산학협력 중심의 성장형 장학
  • 한양대: 실무, 창업, 인턴 중심의 실용형 장학

결론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한양대학교 공과대학은 모두 등록금 부담을 크게 줄여주는 다양한 장학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성적 중심이 아니라, 연구활동·사회공헌·산학협력 등 다양한 기준이 반영되어 누구에게나 기회가 열려 있습니다. 공대 진학을 꿈꾸는 학생이라면 각 대학의 장학 시스템을 충분히 이해하고, 자신의 진로와 학업 목표에 맞는 제도를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